
모르드개는 에스더서에서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유다 민족을 구원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로, 신학자들은 그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Typology)로 해석해왔습니다. 특히 교부신학과 유형론적 성경 해석 전통 속에서 모르드개는 중보자, 구원자, 의인의 이미지로 평가됩니다. 아래는 모르드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를 다룬 핵심 연구들과 신학적 통찰입니다. 김성언 (2019). 루터는 왜 에스더서를 싫어했는가?핵심 논점: 루터는 에스더서를 ‘율법적’이라고 보았지만, **초대 교부들(제롬, 오리겐 등)**은 모르드개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 보며 교회와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해석하였다.신학적 기여:모르드개는 민족을 위해 고난을 감수한 의인.죽음의 위기 앞에서 중보한 자로서 그리스도의 사역과 연결됨.하만의 처..

오늘의 큐티 본문 말씀은 역대상 21장 8절에서 21절까지의 말씀입니다. 본문 해석 여호와의 천사가 나타나시다. 갓에게 명령하시다. 다윗에게 가서 올라가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라고 말이다. 갓이 여호와의 천사가 이른데로 다윗에게 이 말을 전하다. 올라가니 오르난이 밀을 타작하다가 천사가 오는 것을 보고는 얼른 숨어 네 아들과 말이다. 오르난이 가만히 내다보니 다윗이라. 숨은 곳에서 나와 땅에 얼굴을 대고 다윗에게 절하다. 다윗이 제안하다. 이 타작 마당을 나에게 넘기라고 말이다. 여기에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고자 함이라. 그 이유는 그래야 백성들중에 횡행하는 전염병이 사라짐이라. 오르난은 다윗에게 왕이라 부르며 취하소서라고 답변한다. 타작마당 뿐만아니라 소들..

에스더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나 신학적 상징성을 탐색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지만, 기독교 신학의 전통 속에서는 에스더의 인물, 내러티브 구조, 구속사적 의미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과 사역을 상징적으로 해석하는 접근이 시도되었습니다. 다음은 관련된 주요 연구와 그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 1. 김성언 (2019). 루터는 왜 에스더서를 싫어했는가? 핵심내용: 마르틴 루터가 에스더서를 비성경적이라 여긴 이유를 고찰하면서도, 초기 교부들은 에스더와 모르드개를 교회의 모형 또는 그리스도의 예표로 해석했음을 소개.기여점: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론 관점에서 에스더서를 알레고리적 해석하는 전통의 재조명.🔗 DBpia에서 보기🔹 2. 권미선 & 신문철 (2012). 성서저자들의 해석학에 비추..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의 구원역사 이해"라는 주제는 사도 바울의 신학 핵심을 담고 있으며, 기독교 복음의 본질인 ‘하나님의 의’(δικαιοσύνη θεοῦ)에 대한 통전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아래에 구조적으로 정리된 해설을 제공합니다. 서론: 하나님의 의는 무엇인가?로마서에서 ‘하나님의 의’(the righteousness of God)는 단순한 도덕적 성품이 아니라, 죄인을 의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적 행위, 즉 구원역사 전체를 아우르는 언약적 개념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1:17에서 이 표현을 구약에서 가져와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롬 1:17)라고 선언함으로써, 복음의 본질을 ‘하나님의 의의 계시’로 규정합니다.본론(1)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