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의 구원역사 이해"라는 주제는 사도 바울의 신학 핵심을 담고 있으며, 기독교 복음의 본질인 ‘하나님의 의’(δικαιοσύνη θεοῦ)에 대한 통전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아래에 구조적으로 정리된 해설을 제공합니다.

 

 

서론: 하나님의 의는 무엇인가?

로마서에서 ‘하나님의 의’(the righteousness of God)는 단순한 도덕적 성품이 아니라, 죄인을 의롭게 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적 행위, 즉 구원역사 전체를 아우르는 언약적 개념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1:17에서 이 표현을 구약에서 가져와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롬 1:17)라고 선언함으로써, 복음의 본질을 ‘하나님의 의의 계시’로 규정합니다.

본론

(1)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의 (롬 1:18–3:20)

  • 바울은 모든 인간이 죄 아래 있음을 선포합니다.
  • 이방인은 자연계시로도 하나님을 알 수 있었지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지 않았고(1:20-23), 유대인 또한 율법을 지녔지만 실천하지 못함으로 정죄받습니다(2:17-24).
  • 결론: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3:10) — 인류의 전적 타락.

(2) 그리스도를 통한 의의 계시 (롬 3:21–5:21)

  • 하나님의 의는 이제 율법 외에 나타났으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주어집니다(3:21-22).
  • 속죄제물로서의 예수: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3:24).
  • 아브라함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선례(4장).
  •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믿는 자는 의롭다 함화목, 새 생명을 얻음(5장).

(3) 의인의 삶과 성령의 역할 (롬 6–8장)

  • 은혜 아래 있는 자의 삶: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아야 함(6장).
  • 율법의 한계성령의 내주: “율법은 육신으로 말미암아 연약하여 할 수 없는 그것을 하나님은 하시나니…”(8:3).
  • 성령은 죄를 이기게 하고, 하나님의 자녀로 확증시키며, 결국 영광스러운 구속을 이루게 함.

(4) 하나님의 구속사적 주권 (롬 9–11장)

  • 유대인의 불신과 이방인의 구원: 하나님의 주권과 자비의 신비.
  • 이스라엘의 넘어짐은 이방인의 구원을 위한 것이며, 결국 이스라엘도 구원받게 될 것이라는 종말론적 회복 약속.

(5) 의롭게 된 자의 삶 (롬 12–16장)

  • 하나님의 긍휼에 대한 응답으로, 삶의 예배, 사랑, 순종, 용서, 공동체적 윤리를 실천하는 삶.
  • 바울의 개인적 요청과 사역 보고를 통해 복음 사역의 확장과 미래 비전도 함께 제시됨.

결론: 로마서가 드러내는 구원역사의 총체

로마서는 하나님의 의가 어떻게 타락한 인간을 의롭게 하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하시며, 성령 안에서 새로운 생명을 주시고, 궁극적으로는 온 인류와 이스라엘의 회복을 이루는지를 설명합니다. 이것은 단지 개인의 구원이 아닌 우주적 구원 역사입니다.

핵심 정리

하나님의 의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과 구속적 행동
구원의 수단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믿음
구원의 범위 모든 인류 (유대인 + 이방인)
성령의 역할 죄와 사망에서 해방, 양자됨의 보증
삶의 변화 윤리적 순종과 공동체적 사랑
구원 완성 최종적 영화와 이스라엘의 회복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