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D.A. Carson (Donald Arthur Carson)는 현대 복음주의 신학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약학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특히 성경 해석, 신약신학, 복음 중심의 설교와 변증에 있어 폭넓은 연구와 저술을 남겼습니다.

기본 정보

  • 이름: Donald Arthur Carson
  • 출생: 1946년, 캐나다
  • 소속: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미국 일리노이 주) – 명예 신약학 교수
  • 주요 역할:
    • 복음연합(TGC, The Gospel Coalition) 공동설립자
    • 국제적 신학자 및 설교자
    • 성경 주석가 및 교사

대표 저서

제목                                                                                                설명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1991) 요한복음 주석으로, 신학적 깊이와 문법적 해석이 탁월함.
Exegetical Fallacies (1984) 성경 해석에서 자주 범하는 오류들을 지적한 고전적 저작.
Christ and Culture Revisited (2008)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를 니버의 틀을 넘어 재정립.
The Gagging of God (1996)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속 복음의 변증과 독특성 강조.
Scandalous: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2010) 십자가와 부활의 신학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조명.
신학적 기조
  • 보수적 복음주의: 성경의 무오성과 절대적 권위를 강조
  • 변증적 사상: 현대 문화, 철학, 언어학적 비판에 강한 변증 능력
  • 그리스도 중심 해석학: 구약과 신약 모두에서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해석
  • 성경신학(성경 전체의 통일된 이야기 강조): '창조-타락-구속-회복'의 큰 틀을 따른다.

영향력과 평가

  • Carson은 학문성과 영성, 설교와 해석, 전통과 현대문화의 균형을 갖춘 신학자로 평가받습니다.
  • 그는 많은 신학교수와 목회자들의 해석적 멘토로 인용됩니다.
  • 전 세계적으로 강연하며, 그의 저작은 30개국 이상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Carson은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가장 철저히 성경에 뿌리내리되, 동시에 현대 세계에 깊이 대응할 줄 아는 사상가다.”

 

D.A. Carson의 이 말 **"죽음에 대한 분노와 인간 타락에 대한 신적 슬픔이다"**는 요한복음 11장에서 예수님의 반응을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되는 해석입니다. 특히 나사로의 죽음 앞에서 예수님이 눈물을 흘리신 장면에서 Carson은 예수님의 감정이 단순한 슬픔을 넘어서 죽음을 초래한 죄와 타락한 인간 상태에 대한 거룩한 분노라고 봅니다.

해석 요점:

  • 죽음에 대한 분노: 예수님은 단지 친구를 잃은 인간적인 슬픔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파괴한 죄와 그 결과인 죽음 자체에 분노하신 것입니다.
  • 타락에 대한 신적 슬픔: 죄로 인해 인간이 하나님과 단절되고, 그로 인해 고통받는 현실에 대해 하나님으로서 슬퍼하심을 드러냅니다.

관련 맥락:

  • 이 해석은 요한복음 11:33과 38에서 예수께서 "비통히 여기시고, 마음에 격동하시다"라는 헬라어 원문(ἐνεβριμήσατο)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단어는 단순한 슬픔보다 격렬한 분노 또는 격동된 감정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Carson은 이러한 감정이 단지 나사로의 죽음이 아니라, 인간의 죄로 인해 발생한 모든 죽음과 고통에 대한 전반적인 반응이라고 설명합니다.

의미 있는 인용:

"It is death itself that is the object of his wrath, and behind death, him who has the power of death, and whom he had come into the world to destroy."
— D.A. Carso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p. 415

 

이 말은 인간 역사 속에서 죽음이라는 비극적 현실 앞에서, 예수님이 단순히 감성적인 반응만이 아닌 구속사적 분노와 슬픔으로 반응하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