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칼빈의 '예수의 인간성과 신성 조화' 관련 연구 8권 요약 + 해설


1. The Christology of John Calvin (R.C. Zachman, 2015)

  • 요약:
    칼빈의 기독론은 "진정한 인간이면서도 참된 하나님이신 예수"라는 이중 본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십자가에서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부르짖음을 통해 인간적 고통과 신적 의지를 동시에 드러낸다고 분석합니다.
  • 해설:
    칼빈은 "그리스도의 인간성"을 단순히 수단으로 보지 않고, 구속 사역의 본질로 이해했습니다. 따라서 예수의 눈물은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구원의 필수적 과정입니다.
  • 원문 보기

2. Grace and Gratitude (B.A. Gerrish, 2002)

  • 요약:
    칼빈의 성찬론을 중심으로 '은혜'와 '감사' 개념을 재구성합니다. 인간적 고통(예: 예수의 눈물)을 통해 신적 은혜가 전달된다고 설명합니다.
  • 해설:
    성찬(Communion)에서 그리스도의 인간성과 신성은 '떼려야 뗄 수 없는 하나의 사건'으로 경험됩니다. 예수의 고난과 눈물은 은혜의 수단입니다.
  • 원문 보기

3. Calvin, Participation, and the Gift (J.T. Billings, 2007)

  • 요약:
    인간이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에 참여(participation)한다는 칼빈의 이해를 다룹니다. 그리스도의 인간성과 신성의 조화는 신자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구조입니다.
  • 해설:
    예수의 눈물은 단순한 과거 사건이 아니라, 신자들의 고통과도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칼빈은 이를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신-인간 연합"으로 설명했습니다.
  • 원문 보기

4. Divine Humanity: Kenosis Explored and Defended (David Brown, 2010)

  • 요약:
    '케노시스'(비움)를 주제로, 칼빈과 루터의 인간성 이해를 비교합니다. 칼빈은 예수의 고난(예: 눈물)을 통해 신성이 숨겨지거나 약해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적 사랑의 능력이 드러났다고 강조합니다.
  • 해설:
    칼빈은 신성과 인성의 경계가 혼합되지 않고 동시에 온전히 유지된다고 보았습니다.
  • 원문 보기

5. Christ's Humanity in Current and Ancient Controversy (E.J. Van Kuiken, 2017)

  • 요약:
    고대 기독론 논쟁(특히 칼케돈 공의회)과 현대 논쟁을 비교하며 칼빈의 입장을 소개합니다. 칼빈은 "예수의 고통"을 진정한 인간적 경험으로 해석했습니다.
  • 해설:
    칼빈은 예수의 인간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당시 로마 가톨릭 일부 신학)에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그는 예수의 눈물은 실제 인간적 고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원문 보기

6. Calvin'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J. Calvin, 1559)

  • 요약:
    『기독교 강요』 제2권 14장에서 칼빈은 "예수의 몸은 실제 인간의 몸"이고, "그분은 슬픔, 고통, 기쁨, 분노를 실제로 느끼셨다"고 선언합니다.
  • 해설:
    "예수의 눈물"은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참된 인간적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우리의 구원을 위해 고통을 자발적으로 선택하신 증거입니다.
  • 원문 보기

7. The Doctrine of Humanity (Oxford Handbook of Presbyterianism, 2019)

  • 요약:
    칼빈주의(개혁주의)의 인간론은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개념과 연결되며, 예수의 인성과 신성은 인간 회복의 모델로 제시됩니다.
  • 해설:
    예수의 눈물은 단지 개인적 감정이 아니라, **새로운 인간성(New Humanity)**을 여는 시작점입니다.
  • 원문 보기

8. Communion with God (Kelly M. Kapic, 2024)

  • 요약:
    존 오웬과 칼빈의 신학을 비교하며, 칼빈은 인간이 신과 연합하는 '은혜의 통로'로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을 강조했다고 설명합니다.
  • 해설:
    예수의 눈물은 신-인간 교제를 위한 사랑의 초청이며, 구원받은 인간성의 표본입니다.
  • 원문 보기

요약 결론

칼빈은 "예수의 눈물"을

  • 참 인간으로서 우리와 동일시되었고
  • 참 하나님으로서 우리를 구원하시려는 사랑의 표현으로 보았습니다.
    이 두 가지 본성은 칼빈 신학의 핵심을 이루며, 인간성/신성의 분리 없는 통합을 강조하는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