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우구스티누스: '예수님의 눈물은 우리에게 참 사랑의 길을 가르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 개념

아프리카 알제리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사랑(Caritas) 은 신학, 인간 존재론, 도덕 철학을 관통하는 핵심 주제입니다.
그는 사랑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했습니다:

종류                        설명                                                                                대표적용어
Caritas (참된 사랑) 하느님을 향하는 사랑. 참된 선을 추구하며 영원한 생명을 향하는 사랑. 사랑(caritas), 자비(misericordia)
Cupiditas (욕망적 사랑) 세속적 것, 자기 자신, 쾌락을 향하는 왜곡된 사랑. 탐욕(cupiditas), 이기심(superbia)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한 사랑의 본질

  • “나의 사랑이 나를 어디로 이끄는지를 보라.”
    → 인간의 삶은 사랑하는 것에 의해 방향이 결정된다.
  • 하느님 사랑은 인간의 본질적 구원이며,
  • **세상 사랑(욕망)**은 타락과 파멸로 이끈다.

그는 특히 **《신국론(De Civitate Dei)》**에서, 두 도성(신의 도성 vs 세속의 도성)은 "어디에 사랑이 향하는가"에 따라 구별된다고 설명합니다.

“두 사랑이 두 도성을 만들었다. 하느님을 경멸하고 자기를 사랑하는 사랑이 세속 도시를 만들었고, 자기를 경멸하고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랑이 하늘 도시를 만들었다.”
(De Civitate Dei, XIV, 28)

요약: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

  •   사랑은 인간 존재의 핵심.
  •   무엇을 사랑하느냐에 따라 인간은 구원되거나 타락한다.
  •   참된 사랑(Caritas)은 하느님과 이웃을 위한 헌신적 사랑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눈물’에 대한 신학적 해석

**눈물(Lacrimae)**은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에서 감정의 표현을 넘어 구원의 여정을 상징합니다.

주요 해석 포인트:

  1. 회개와 눈물:
    •   《고백록(Confessiones)》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어머니 모니카가 끊임없이 흘린 눈물을 **"하느님께 바쳐진      기도"**라고 묘사합니다.
    •   자신의 죄를 깨달을 때 흐르는 눈물은 은총에 대한 응답입니다.
  2. 사랑에서 흘러나온 눈물:
    •   진정한 사랑은 타인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이며, 이때 자연스럽게 눈물이 흘러나옵니다.
    •   예수님의 눈물(예: 나사로의 죽음 앞에서)은 바로 이러한 참 사랑의 모범입니다.
  3. 구속적 의미:
    •   눈물은 인간의 나약함을 인정하게 하고, 신의 은총을 구하는 통로가 됩니다.
    •   눈물은 죄에서 벗어나고 하느님께 가까워지기 위한 "거룩한 감정"으로 여겨집니다.

“그의 어머니는 아들을 위해서 눈물로 하느님께 기도했다. 그리고 하느님은 그 눈물을 외면하지 않으셨다.”
(Confessiones III, 12)

특별히 강조되는 세 가지 눈물의 기능:

기능                    설명
회개 죄를 깨달음에서 나오는 눈물
사랑 이웃의 고통을 함께 느끼는 사랑의 눈물
소망 하느님 나라에 대한 갈망으로 흘리는 눈물

종합 정리

  •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사랑은 단순 감정이 아니라 존재의 방향구원의 기준이다.
  •   참된 사랑(caritas)은 하느님과 이웃을 향한 헌신이며, 왜곡된 사랑(cupiditas)은 자기중심성과 세속에 대한 집착이다.
  •   눈물은 단순한 슬픔이 아니라 회개와 사랑의 행위로서, 하느님께 나아가는 길이다.

참고 문헌 및 추천 읽을거리

  1. Augustine of Hippo. Confessions. Public Domain Version (English)
  2. Augustine. De Civitate Dei (The City of God). Online Latin-English
  3. Harrison, Carol. Rethinking Augustine's Early Theology: An Argument for Continuity (Oxford, 2006).
  4. Brown, Peter. Augustine of Hippo: A B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5. Markus, R.A. Saeculum: History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St. Augustine (Cambridge, 1970).
  6. Wills, Garry. Saint Augustine (Penguin Lives Series, 1999).
  7. O'Donnell, James J. Augustine: A New Biography (Ecco, 200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