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에는 **『고백록』 안에서 "모니카의 눈물"과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conversio) 장면"**을 자세히 설명하고, 각각의 신학적 의미까지 함께 분석해드리겠습니다.


📖 『고백록』 안의 모니카의 눈물

**모니카(Saint Monica)**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로, 아우구스티누스가 방탕한 삶을 살 때에도 끊임없이 기도하고 눈물을 흘리며 그의 회개를 바랐던 인물입니다.

1. 주요 장면

  • Confessiones III, 11
  • "그녀는 나를 위해 주님께 눈물로 기도하셨다. 그녀의 눈물은 당신께서 무시하지 않으셨습니다."
  • Confessiones V, 8
  • "그녀의 눈물은 당신 앞에 땅에 떨어지지 않았다. 당신은 그녀의 간구를 듣고 계셨다."
  • Confessiones VI, 1
    •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누스가 만니교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도 포기하지 않고 눈물로 기도합니다.
    • 밀라노에서 성 암브로시우스를 만나기도 하며, 그를 위해 조언을 청합니다.

2. 신학적 해석

측면                          설명
사랑과 희망 모니카는 아들을 포기하지 않고 사랑하며, 하느님께 신뢰를 두었습니다.
기도의 힘 그녀의 눈물은 하느님께 드려진 끊임없는 기도로 간주됩니다.
중보자 역할 그녀는 아들을 위한 중보자로, 하느님께 간청하는 모범입니다.

요약: 모니카의 눈물은 모성애, 믿음, 그리고 끊임없는 중재적 기도를 상징합니다.


🌟 『고백록』 안의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 장면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은 『고백록』 제8권에 매우 감동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 장면은 기독교 신학사에서도 손꼽히는 회심의 순간입니다.

3. 핵심 장면 (Confessiones VIII, 12)

  • 아우구스티누스는 깊은 죄의식과 자기 혐오로 고통받으며 정원에 나가 통곡합니다.
  • 그때 "아이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 "Tolle lege, tolle lege!" ("집어 들어라, 읽어라!")
  • 그는 근처에 있던 성경(로마서)을 열어 읽습니다:

"방탕과 술취함, 음란과 방탕함, 싸움과 시기를 버리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어라."
(로마서 13:13-14)

  • 이 말씀을 듣고 아우구스티누스는 마침내 죄악된 삶을 버리고 하느님께 자신을 온전히 맡기기로 결심합니다.

4. 신학적 해석

측면                                    설명

 

은총의 작용 회심은 인간 노력의 결과가 아니라 하느님의 은총(gratia) 때문입니다.
성경의 능력 하느님 말씀(성경)이 회심을 일으키는 직접적 도구로 나타납니다.
자유의지의 응답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자유롭게 응답합니다.

요약: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은 하느님의 은총, 성경 말씀의 힘, 그리고 자유의지의 결단이 맞물린 사건입니다.


🗝️ 종합 정리

주제                  모니카의 눈물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
의미 아들을 위한 끊임없는 사랑과 기도 하느님 은총 앞에 자발적으로 항복하는 결단
상징성 기도의 끈질긴 힘 은총의 절대성 + 자유의 응답
주요 구절 Confessiones III, 11 / V, 8 Confessiones VIII, 12

📚 『고백록』 전문 읽기 추천 링크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